본문 바로가기

TIL

20210615 [항해 9일차]

어제와 마찬가지로 오전 9시 부터 알고리즘 문제만 내내 풀었다. 

모르는 내용 찾아보느라 4시간 정도 쓰고, 해당 내용 이해하고 익히느라 5시간 정도, 실제로 푼건 백준 4344번 문제 겨우 한 문제 밖에 안되는데 이것마저 다른 분이 풀이 하신 것을 보고 겨우 이해해서 풀고 익혔다. 제대로 풀리는게 없으니까 답답하고 앞으로가 조금 걱정된다. 흥미도도 조금씩 떨어지는 느낌도 난다.

 

4시에는 알고리즘 문제 풀이가 느린 사람끼리 조 편성을 하여 편성 후 어떻게 해야할지 이야기를 잠깐 나눴다. 내일 9시에 모여서 문제할당 후 개인별로 풀어보고 저녁에 알려주는 방식으로 하기로 결정했다.

7시부터 8시 까지는 REST API,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해 항해 참가자 두 분이서 하는 강의를 들었다.

현재 우리가 웹상에서 사용하는 거의 모든 API는 REST API라고 하고, GET, POST 등이 여기서 나온 말이라고 한다.

프로세스: 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은 작업의 단위.
스레드: 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 실행 흐름의 단위.

프로세스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고, 점차 복잡해지는 프로그램으로 인해 하나의 프로세스로는 실행이 벅차 하위 개념인 스레드가 나왔다고 한다. 

 

<배운 내용들>

  • '%.3f' % X   <<  X의 값의 소수점 세번째 자리까지 나타내게하는 포맷 코드 / 포맷 코드를 적용 하게 되면 문자열 형태로 바뀐다.
  • 입력 값이 여러 줄에 나오면 인풋을 해당 줄에 맞게 넣어줘야 한다.
  • 한 줄에 여러 개가 나오면 x = map(int, input.split())과 같은 형태로 쓴다.
  • 반복문은 정말 아주 제대로 이해해야 앞으로 나올 문제들을 막힘 없이 풀 수 있겠다.
  • counter를 쓰면 list 내의 정보를 list에 해당하는 값을 카운트해서 카운트 한 숫자를 value값에, 원래 있던 list의 값들은 key값에 들어간다. 
  •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을 정하고 그 시간이 지나면 답을 보고 익히자


 

 

 
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210617[항해 11일차]  (0) 2021.06.17
20210616[항해 10일차]  (0) 2021.06.17
20210614[항해 8일차]  (0) 2021.06.14
20210613[항해 7일차]  (0) 2021.06.13
20210612[항해 6일차]  (0) 2021.06.13